웹사이트: WhatIsTheTime.com 서비스 개요단순히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웹사이트데이터베이스 불필요 (각 서버에서 직접 현재 시간 계산 가능)초반에는 다운타임을 감수할 수 있지만, 인기가 커짐에 따라 고가용성과 확장성 필요최종 목표: 수직·수평 확장 및 다운타임 최소화 1단계: 단일 서버 + 탄력적 IP서버에 탄력적 IP(Elastic IP)를 연결서버 장애 시 인스턴스를 재시작하고 동일 IP 재사용 가능문제: 서버 수가 늘어나면 탄력적 IP 관리가 어려움 2단계: Route 53 도입으로 수평 확장탄력적 IP 대신 Route 53 DNS 레코드로 서버 연결 관리서버를 늘려 수평 확장 가능문제: 서버 장애 시 DNS TTL(Time-To-Live) 만료 전까지 일부 사용자가 여전히 장애 서버로..
Route 53 개요고가용성, 확장성을 갖춘 DNS 서비스Route 53은 AWS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서비스로, 전 세계에 분산된 인프라를 통해 높은 가용성과 확장성을 제공DNS에 대한 완전한 제어 가능사용자는 도메인 이름과 그에 대한 DNS 레코드를 완벽하게 관리Route 53 관련 리소스 확인 가능호스팅 존, 레코드 등 Route 53의 DNS 관련 리소스들을 AWS 관리 콘솔이나 API를 통해 쉽게 조회 및 관리100% SLA 가용성 제공AWS가 약속하는 서비스 수준 협약(SLA)에 따라 100% 가용성 달성을 목표로 운영 라우트 레코드(Route Record)에 담기는 정보항목설명예시도메인DNS 레코드가 적용되는 도메인 또는 서브도메인 이름example.com, ..
로드밸런서 개요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트래픽을 백엔드 서버나 인스턴스에 분산시켜 시스템 부하를 줄이고 가용성과 확장성을 높임장애 조치(Failover), HTTPS 지원, 트래픽 라우팅 분리 등이 가능개인 트래픽과 공공 트래픽을 분리하여 보안 아키텍처 구성도 가능 Elastic Load Balancer (ELB)AWS가 관리하는 로드밸런서 서비스로, 인프라를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사용 가능사용자는 어떤 인스턴스와 연결되는지 알 수 없으며, 자동으로 상태가 좋은 인스턴스로 트래픽이 전달됨ELB는 백엔드 EC2 인스턴스의 헬스체크(상태 검사)를 수행하며, 응답 코드가 200이 아닐 경우 장애로 간주여러 AWS 서비스와 통합되어 있고, 설정이 간단 로드밸런서 사용을 위한 보안 그룹 설정 예시로드밸런서의 보..
EBS 볼륨 (Amazon Elastic Block Store)EBS는 EC2 인스턴스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블록 스토리지EC2 인스턴스가 실행 중일 때 연결 가능한 저장 장치로, 네트워크 기반으로 동작인스턴스와 별도로 관리되기 때문에, 인스턴스를 종료하거나 삭제해도 EBS 볼륨은 유지EBS 볼륨은 특정 가용 영역(AZ)에 종속되며, 다른 가용 영역의 인스턴스와는 직접 연결할 수 없음USB처럼 작동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개념으로 이해인스턴스가 EBS 볼륨과 통신하려면 네트워크가 필요하나의 인스턴스는 여러 개의 EBS 볼륨을 동시에 연결 가능EBS 볼륨은 EC2 인스턴스 생성 시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인스턴스 종료 시 함께 삭제할지 여부를 설정 가능EBS 볼륨은 스냅샷을 통해 다른 가용 ..
사설 네트워크 (Private Network)인터넷과 분리된, 조직 내부 전용 네트워크AWS에서는 VPC 내부 통신 시 사용됨인스턴스 간 통신은 사설 IP로 처리됨외부와 통신하려면 NAT Gateway나 프록시를 거쳐야 함사설 IP는 VPC 내에서만 유일하면 됨 공용 네트워크 (Public Network)인터넷과 연결되는 외부 네트워크모든 공용 IP는 인터넷 전체에서 유일한 주소여야 함외부에서 AWS 리소스에 접근하려면 공용 IP 또는 탄력적 IP가 필요함 EC2 인스턴스의 IP 구성① 사설 IP (Private IP)EC2가 기본으로 갖는 내부 IPVPC 내부에서만 통신 가능, 외부에서는 접근 불가인스턴스를 중지해도 IP가 유지됨② 공용 IP (Public IP)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AWS가 자동 부여..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